디즈니 플러스가 11월 12일 날 OTT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어떤 장점과 가격 그리고 동시접속과 어떤 콘텐츠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디즈니 플러스
디즈니플러스는 월트 디즈니 모회사의 콘텐츠를 모아서 OTT 서비스로 만든 형태입니다. 이제는 IT 발달로 인하여 영화관에서 보는 거보다 훨씬 간편한 서비스를 쉽게 제공하기 위해서 압축해서 만든 플랫폼 형태입니다.
현재 11월기준으로 1억 명 이상 구독자를 넘었다고 하니 인기가 엄청 많습니다. 아무래도 넷플릭스를 겨냥하기 위해서 만들었는데 아무래도 전 세계적으로 인가 많았던 콘텐츠는 디즈니가 훨씬 많이 보유했으니 이점은 장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쉽게 마블 시리즈와 디즈니 엘사와 소울 등 여러 가지 컨텐츠가 저렴한 가격에 볼 수있으니 이또한 어마한 장점인것 같습니다. 앞으로 나올 디즈니 시리즈 또한 여러가지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첫 번째 발 돋음이 되기도 합니다.
디즈니 가격
디즈니 가격에 대해서 정말 고민 많이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냐면 이미 넷플릭스에서 OTT선두 주자로 많은 구독자를 확보한 상태에서 가격 또한 넷플릭스보다는 낮아야 쉽게 더 구독자들을 모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넷플릭스 가격은 베이직9500원 스탠다드 12000원 프리미엄 14500원 입니다. 하지만 월구독 기준으로 디즈니는 9900원 1년간 결제 99000원 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잘 생각 해보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동시 접속의 기준입니다. 넷플릭스 베이직 9500원은 동시 접속이 1명밖에 되지 않으나 디즈니 9900원은 4명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4명까지 되려면 넷플릭스 기준 프리미엄 14500원에 가입을 해야 디즈니 9900원과 효과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준을 놓고 보면 넷플릭스 프리미엄 가격과의 가격 차이가 4500원이 된다는 것입니다. 한 아이뒤로 여러 명이 볼 경우 아무래도 디즈니가 한수 위라고 볼 수 있겠네요.
디즈니의 제휴사 LG U+
디즈니는 더 많은 구독자를 위해서 우리나라 LG U+ 와 함께 제휴를 맺게 됩니다. LG U+ 는 아이들 전용으로 아이들 나라와 인터넷 결합 TV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3사 통신사에서 유일하게 OTT서비스가 조금 높은 편입니다.
이에 LG U+는 요금제 통신서비스에 월 9만 5천 원에 디즈니+ 프리미엄 팩을 출시하고 있으며 10만 원 때 이상이면 매달 무료로 가능하게 됩니다.
요금제는 여러 가지 종류가 많은데요. 저 같은 경우도 유플러스 사용 10만원 인터넷 결합 상품 사용할 때 유튜브 프리미엄이나 넷플릭스 무료 그리고 이번에는 디즈니+까지 3중에 10만원이상 요금제 쓰는 분이라면 골라서 가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유튜브를 많이 봐서 광고 없이 보는 게 좋아서 유튜브를 하였지만 넷플릭스를 좋아하시면 넷플릭스로 이번에 디즈니 론칭을 본다면 디즈니로 바꾸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디즈니 플러스 콘텐츠 종류
디즈니 컨텐츠 종류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전 세계에서 흥행한 것만 해도 어마합니다. 이미 봐서 내용을 다 알 수도 있지만 사람 뇌라는 게 망각이 있어서 어느 정도만 기억나지 오랫동안 안 보면 기억 안 납니다.
그래서 다시 한 번씩 보는 재미도 있고 아이들이 있다면 여러 가지 컨텐츠로 볼 수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사실 넷플릭스나 여러가지 OTT 아이들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넷플릭스는 어른 위주의 콘텐츠가 많고 아이들 쪽은 사실상 업데이트가 거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디즈니는 여러가지 아이들과 어른들도 함께 볼수 있는 컨텐츠가 많습니다.
마블 시리즈
마블 시리즈는 이미 유명한데 그중에 몇까지 본다면 어벤저스, 아이언맨, 호크아이, 닥터 스트레인지 등 이미 한테 전 세계 돌풍을 몰고 온 시리즈입니다. 2번 이상식은 본 영화가 많으실 것입니다.
픽사 베이
픽사 베이에서 나온 애니메이션은 이미 유명한 엘사 시리즈와 소울, 토이스토리, 라이온 킹, 미녀와 야수, 등등 이미 유명한 명작을 모티브로 만든 애니메이션도 있고 자체에서 만든 콘텐츠가 유명한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어른과 아이들이 함께 보기에도 좋은 컨텐츠가 많습니다. 그래서 굳이 OCN이나 다른 타 플랫폼에서 비싼 돈을 지불해야 볼 수 있는 콘텐츠 거나 아니면 지원 자체가 없는 시리즈도 많습니다.
심슨&스타워즈
스타워즈는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미국에서는 인기가 어마한 콘텐츠입니다. 저는 사실 안 봐서 모르지만 아무래도 SF작품으로는 어마한 인기가 있었던 작품이고 여전히 그를 추종하는 마니아들도 아직 있을 정도이니까 이참에 한번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심슨은 우리나라로 치면 어떤 만화 수준이 될까요? 아무래도 전 국민 알고 있을 정도의 만화로 코믹하면서 괴짜 같은 심슨가족의 일상을 그린 만화인데 은근히 보고 있으면 중독 아닌 중독성이 있습니다.
디즈니 주가
박스권을 유지했던 디즈니가 이번 디즈니+ 플랫폼으로 박스권 고점을 뚫리려냐 했지만 아래쪽으로 더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네요.
이것이 이번에 10년 중 가장 많이 하락한 폭인 7% 정도이고 실적에 따른 하락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아직 여러 가지 작용하는 가운데 신규 작품에 대한 흥행도 없을 뿐더러 팬데믹 상황도 맞물려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미 이 서비스는 그전부터 기대했고 알고 있는 호재 부분이라 이제는 재료 상실로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면 최저 국면에 왔다면 OTT 서비스의 가입자로 꾸준한 수익이 발생한다면 그전 고점 가격인 20만 원 때 회복은 쉬울 수도 있겠습니다.
오늘은 디즈니 플러스 플랫폼에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플랫폼 기반들의 특징은 여러 가지 콘텐츠를 잘 만드는 것에 아마도 중점에 달려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전 세계를 강타한 오징어 게임 같은 경우에도 넷플릭스에서 잘 지원해준 콘텐츠라 영화관이 아닌 곳에서도 편하게 신청이 가능하게 만든 연결로 쉽게 좋은 매출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여러 나라에서 우리나라에 관심도 많아지고 여러 옛날 놀이와 제품들이 많이 팔린 것이 정말 여러 가지 나비효과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앞으로 디즈니는 협력으로 갈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자신들의 콘텐츠만 할 것인지 이 부분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